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반응형

     

     

    그동안 전기차 차종별 지원금이 다르긴 했지만, 

    2023년이 되면서 전기차 보조금이 기본적으로 줄어든다고 합니다.

    어떤 부분이 바뀌는지 알아볼까요?

     

    아이오닉 6  680만 원 VS 테슬라 260만 원

     

    ▶수입전기차 국산보다 더 깎아

    · 작년 5,500 만원 미만 ≫≫  5,700만 원 미만으로 200만 원 인상(물가 인상 반영)

    · 보조금 제외 차량은 8,500만 원 초과 차량(작년과 동일)

    · 한대당 보조금 총액은 지난해 700만 원에서 680만 원으로 감소

    · 대신 지원대수는 16만 대 ≫≫ 21만 5000대 (30% 증가)

     

     

    · 성능보조금

    2022년 2023년
    초소형 400만원 초소형 350만원
    그 외 최대 600만원 소형 400만원
        중대형 최대 500만원

     

      ☞ 무공해차 구매 보조금 지원하러 가기

     

     차 가격 5,700만 원 미만이면 전액 보조금 

    5,700만 원 미만 : 전액지원

    5,700만 원~ 8,500만 원 : 50% 지원

    8,500만 원 이상 : 지원 없음

     

    ▶성능보조금 외에 이행보조금(140만 원), 충전기 인프라 보조금(20만 원), 혁신기술보조금(20만 원) 총 180만 원의 인센티브가 추가 지급됩니다. 

     

    아이오닉 5, 6, 기아 EV6 - 최대 680만 원(작년보다 20만 원 감소)

    볼트 EV, EUV - 최대 640만 원

    제네시스 GV70, GV60 - 최대 300만 원대

    테슬라 모델 3, 모델 Y - 최대 260만 원(55만 원 감소)

    벤츠 EQ4, EQB - 최대 270만 원대

    아우디 Q4 - 최대 253만 원

    볼보 C40, XC40 - 200만 원대

     

          

    전기버스는 배터리 밀도별로 차등

    · 배터리 밀도에 따라 최대 30% 삭감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주로 장착한 중국산 버스가 직격탄을 맞을 것으로 예상

     

    에너지 밀도가 500Wh/L 이상 - 1등급 : 보조금 전액지원

                            400Wh/L 미만 - 70% 만 지원

     

    전기 버스 : 대형 7,000만 원, 중형 5,000만 원(작년과 동일)

    전기화물차 : 1,400만 원 ≫≫1,200만 원으로 인하

        기본보조금 500만 원은 폐지 ≫≫ 성능에 따라 차등 지급

     

     

    2023년 바뀌는 기준

     

    AS센터의 숫자

    : 최소한 직영 서비스센터를 구축하고 있어야 함

     

    정비이력 전산관리센터의 전산망 구축 유무

    ※  직영 서비스센터를 갖고 있는 곳이 국내사인 현*, 기*가 대부분 임

     

    V2L 기술의 유무

    : 유 - 20만 원 지원

      무 - 지원 없음

    ※  V2L 기술 적용전기차는 국내사인 현*, 기*가 생산함.

    ※ V2L(Vehicle to Load) 기술 : 전기차가 외부 전자제품에 전력을 공급하는 기술 (국산차만 가지고 있음)

     

    유무충전기 인프라

    최근 3년 이내 급속충전기는 100기 이상 설치한 업체에 충전인프라 지원금지원

     

     

     

    2022년 상반기 전기차 보조금 5,362억 원의 지급 현황을 보면, 국산차가 4693억 원, 중국산이 388억 원, 미국산이 166억 원으로 미국산은 3%에  불과 하지만, 중국산 전기차가 보조금을 많이 가져간 이유가 시내버스의 48%가 중국산 전기버스로 이용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번 보조금 변경 정책은 중국산 전기차에 보조금을 조금을 줄여보자는 취지가 있습니다. 

     

     

     

     

     

    보조금 시스템 문의 : 한국환경공단 통합안내데스크(1661-0970)

    전기자동차 지자체 연락처

    친환경차량과 02-2133-9773 서울시 다산콜센터 02-120
    서울시 친환경차량과 02-2133-9773, 3579, 9776
    전기택시 택시정책과 02-2133-2345, 2342
    환경부 전기차 통합콜센터 1661-0970
     제조수입사 지점, 대리점(카마스터, 직원 포함)의 전기차 업무처리 (단순문의 포함) 등 관련 모든 문의는 해당 제조수입사 본사에 문의 바람
    탄소중립정책과 051-888-3552 탄소중립정책과승용 051-888-3554
    화물, 승합 051-888-3552 또는
    부산광역시 콜센터 051-120
    미래모빌리티과 053-803-6371 대구시 콜센터(053-120)
    에너지정책과 032-440-4358  
    대기보전과 062-613-4341  
    미세먼지대응과 042-270-3183 대전시 콜센터(042-120)
    환경보전과 052-229-3183 지자체 문의처: 콜센터 052-120
    환경보전과 052-229-3183, 3185
    환경정책과 044-300-4253 세종시 통합콜센터(044-120)
    수원시청 기후에너지과 1899-3300  
    기후에너지과 031-729-3162 문의: 성남시 기후에너지과(031-729-3162,3163)
    의정부시 031-828-4445  
    기후대기과 031-8045-2622 안양시 기후대기과 (031-8045-2622)
    부천시 미세먼지대책과 032-625-3514  
    기후에너지과 1688-3399 1688-3399 또는 02-2680-6463,6144
    환경정책과 대기환경팀 031-8024-5000  
    환경보호과 031-860-2239  
    환경정책과 1666-1234  
    녹색도시담당관 031-909-9000  
    환경위생과 02-3677-2244  
    환경과 031-550-2756  
    기후에너지과 031-590-2610  
    환경과 031-8036-6434  
    환경정책과 031-310-3886  
    환경과 031-390-0542  
    환경과 031-345-3805  
    환경정책과 031-790-5937  
    기후에너지과 031-324-3155  
    환경보전과 031-940-3796  
    환경보호과 031-644-2354  
    안성시 환경과 031-678-0743  
    기후에너지과 031-980-5364 전기자동차 민간 보급 구매 지원 사업 : 김포시 기후에너지과(031-980-5364)
    기후환경과 031-5189-6727 화성시 콜센터:전기차 사업 관련 민원상담 1577-4200
    기후탄소과 031-760-2982 - 통합콜센터(한국환경공단) 1661-0970
    전기자동차 보급사업 관련 민원상담
    완속,급속충전기 설치 사업

    - 광주시(환경정책과) 031)760-2982
    전기차 구매보조금 집행관련 업무

    - 경기도(미세먼지대책과) 031)8008-3546 또는 031-120
    도비 추가 지원 문의
    환경관리과 031-8082-6341  
    친환경정책과 031-538-2547  
    환경과 031-887-2983  
    환경보호과 031-839-2255 연천군: 031-839-2255
    경기도: 031-8008-3546
    한국환경공단통합콜센터: 1661-0970
    한국자동차환경협회: 1661-9408
    환경정책과 031-580-2441 가평군청 환경정책과: 031-580-2441
    경기도: 031-8008-3546
    한국환경공단 콜센터: 1661-0970
    환경과 031-770-2256  
    춘천시 기후에너지과 033-250-3733  
    기후에너지과 033-737-3048  
    환경과 033-640-5156  
    환경과 033-530-2154  
    환경과 033-550-2061  
    환경과 033-639-2149  
    에너지과 033-570-3750  
    환경과 033-430-2622  
    미래전략과 033-340-4773 횡성군청 미래전략과 기후변화팀
    - 연락처 : 033-340-4773
    - FAX : 033-340-2565
    - 이메일 : ldh7372@korea.kr
    환경위생과 033-370-2626 전기차 구매보조금 관련 상담 : 영월군청 환경위생과 033-370-2626
    환경과 033-330-2369  
    환경과 033-560-2349  
    청정환경과 033-450-4053  
    환경과 033-440-2331 수소차/전기차 보급사업 문의 : 환경기획담당 033-440-2331
    노후경유차 조기폐차 지원문의 : 환경지도담당 033-440-2339
    경제일자리과 033-480-7141  
    인제군청 환경보호과 033-460-4453 인제군청 환경보호과 전기자동차 담당 주무관(033-460-4453)
    강원도 고성군 033-680-3339 강원도 고성군청 환경보호과
    경제에너지과 033-670-2219 전기차 문의처 033-670-2219
    청주시 기후대기과 043-201-4982 청주시 콜센터 : 043-201-0001
    청주시 기후대기과 : 043-201-4982
    기후에너지과 대기관리팀 043-850-3681 - 환경부 통합콜센터(1661-0970) : 전기자동차 보급절차 및 구매절차 진행 등 일반적인 사항
    - 충주시 기후에너지과(043-850-3681) : 구매보조금 집행관련 업무(보조금 지원자격, 대상자 선정 등)
    자연환경과 043-641-6388  
    환경위생과 043-540-3255  
    환경과 043-730-3434  
    환경위생과 043-835-4293  
    환경과 043-740-3406  
    진천군청 환경과 043-539-3444 진천군청 환경과 환경기획팀
    539-3441, 3444
    환경과 043-830-3627  
    음성군 환경과 043-871-3796 1. 환경부: www.ev.or.kr
    2. 한국환경공단: 1661-0970
    3. 음성군 환경과: 043-871-3796
    단양군 환경과 043-420-2652  
    기후대기과 041-521-3477 천안시 콜센터 1422-36
    환경보호과 041-840-8578  
    환경보호과 041-930-3668 보령시청 환경보호과(☎041-930-3668)
    아산시 기후변화대책과 041-530-6255  
    환경생태과 041-660-3364  
    환경과 041-746-5935  
    계룡시 환경위생과 042-840-2452  
    기후환경과 041-360-6577  
    환경자원과 041-750-2513  
    환경과 기후대기팀 041-830-2316  
    환경보호과 041-950-4096  
    환경보호과 041-940-4053 청양군청 환경보호과 기후대응팀
    환경과 041-630-1856 홍성군청 환경과 대기관리팀
    환경과 미세먼지대응팀 041-339-7539 차량 구매 및 신청서 접수 : 각 구매 차량 수입·제조사
    사업 문의 : 예산군청 환경과 미세먼지대응팀(041-339-7539)
    시스템 문의 : 한국환경공단 통합안내데스크(1661-0970)
    환경산림과 041-670-2784  
    맑은공기에너지과 063-281-2324 063-281-2324/2435/5328/8466/8465/5329
    환경정책과 063-454-4462  
    환경정책과 063-859-4452  
    환경과 063-539-5745  
    환경과 063-620-6233  
    김제시 환경과 063-540-3559 환경부 통합콜센터 1661-0970
    전기자동차 충전소 누리집 www.ev.or.kr
    한국자동차환경협회 1661-9408
    김제시 환경과 063-540-3559
    완주군 환경과 063-290-2664  
    환경과 063-430-2328  
    환경위생과 063-320-2332  
    환경위생과 063-350-2546 스캔파일 해상도 낮을 시 보완 대상, 보와 2차(각7일)이후에도 미보완시 반려
    전기자동차 구매신청서 내 차량출고일 필히 작성
    차량출고 10일전 출고가능여부 장수군에 문의
    보조금 지급 대상자는 보조금 심의회 의결 후 차량 출고 및 등록 가능
    환경보호과 063-640-2955  
    환경수도과 063-650-1723  
    환경위생과 063-560-2916  
    환경과 063-580-4382  
    환경보호과 061-270-8675  
    기후생태과 061-659-3811  
    생태환경과 061-749-5768  
    에너지신산업과 061-339-8383  
    환경과 061-797-2793 통합콜센터 (무공해차 구매보조금 지원시스템 문의처) : 1661-0970
    광양시 환경과(보조금 지원자격 및 보조금 상담) : 061-797-2793
    -지원대상자 신청 자격 부여 시 검토 과정을 위해 최소 2일 전에 신청 요망
    -보조금 지원가능 확인요청시 출고일이 명시된 자료 (전산자료 및 출력물 등) 반드시 첨부, 누락시 보조금 지원대상자 선정 불가 및 접수 취소 후 재접수 및 보조금 지원대상자 선정 이후에는 구매신청내용 변경 불가
    -(참고사항) 잔여대수는 무공해차 구매보조금 지원시스템>현황조회>총괄현황(광양시)에서 확인 가능함. ( 현재 잔여대수 = 공고대수 - 접수대수 )
    환경과 061-380-3078 담양군청 환경과 061-380-3078
    환경축산과 061-360-8514  
    환경교통과 061-780-2328  
    환경산림과 061-830-5330  
    환경생태과 061-850-5336  
    화순군청 환경과 061-379-3582 문의처 : 061-379-3582(화순군청 환경과)
    환경관리과 061-860-6043  
    환경축산과 061-430-3302  
    환경과 061-530-5338 통합콜센터(보고즘 신청 시스템 문의처): 한국환경공단(1661-0970)
    환경기후과 061-470-2403  
    환경과 061-450-5558  
    환경상하수도과 061-320-1815  
    이모빌리티산업과 061-350-4746 전기차 보급사업 관련 문의 : 061-350-4746 , 061-350-5838
    전기차 보조금 지원시스템 관련 문의처: 전국콜센터(1661-0970)
    전라남도 장성군 061-390-7362  
    환경산림과 061-550-5497  
    환경산림과 061-540-3708  
    세계유산과 061-240-8443  
    환경정책과 친환경자동차팀 054-270-3791 통합콜센터
    (한국환경공단)저공해자동차 보급사업 관련 종합정보 안내센터 1661-0970
    포항시 친환경차 보급관련 민원상담(콜센터) 친환경차 구매보조금 집행관련 업무전반 054-270-8282, 054-270-3791
    한국자동차환경협회 관내 공용충전기(급속) 이용 문의 1661-9408
    환경과 054-779-6386 경주시청 콜센터 054-779-8585
    무공해차 구매보조금 지원시스템 1661-0970
    환경위생과 054-420-6780  
    환경관리과 054-840-6182  
    환경정책과 054-480-5252  
    영주시청 환경보호과 054-639-6753 영주시청 환경보호과 054-639-6753
    환경보호과 054-330-6926  
    환경관리과 054-537-7355  
    환경보호과 054-550-6182 문의처 : 문경시청 환경보호과
    (주소 : 문경시 당교로 225 문경시청 4층, 연락처 : 054-550-6182)
    환경과 053-810-5450  
    환경위생과 054-380-7943 054-380-7943
    의성군환경과 054-830-6193 054-830-6193
    청송군청 환경관리과 054-870-6183 본공고 - 추경물량 반영이 된 최종 공고문입니다
    추경 1차 - 신청서식(편집가능)입니다

    대상 미선정 잔여물량(2022.12.12. 기준 : 전기승용 15대, 전기화물 0대)
    출고예시일 확정 순으로(예시일 10일 이내시 대상 자격 확보) 대상자 선정 예정,

    ***증빙서류(예시일화면 등) 등록해주시거나 팩스(054-870-6188) 후 연락부탁드립니다.
    ㄴ 예시일화면 등록시 사이트 등록일시를 기준으로, 팩스 제출시 팩스 수신일시를 기준으로 확인합니다.
    ***보조금 지급일 정확히 기입 부탁드립니다, 확정일 시스템과 다른 경우 연락주셔야 합니다.
    환경보전과 054-680-6515  
    환경위생과 054-730-6185  
    환경과 054-370-2183  
    기업경제과 054-950-6588 고령군청 기업경제과 에너지담당 054-950-6588
    환경과 054-930-6186  
    환경관리과 054-979-6757 칠곡군청 환경관리과 054-979-6757
    환경관리과 054-650-6182 - 통합콜센터 : 1661-0970
    - 예천군 환경관리과 : 054-650-6182
    녹색환경과 054-679-6405  
    환경위생과 054-789-6712  
    일자리경제교통과 054-790-6258  
    미래신산업과 055-225-2567 창원시 미래신산업과(창원시 전기자동차 보급) : 055-225-2567
    한국자동차 환경 협회(전기자동차 회원카드 발급 문 등 전기 충전소) : 1661-9408
    통합콜센터(전기자동차 보급) : 1661-0970
    환경부(전기자동차 보급) : 044-201-6888
    환경관리과 055-749-8643  
    환경과 055-650-5473  
    환경보호과 055-831-2769  
    기후대기과 055-330-2457 김해시청 기후대기과 기후변화팀055-330-2457, 3367
    (2457, 3367 외 타번호로 전기차 지원사업 문의 시 응대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환경관리과 055-359-5319  
    거제시 환경과 055-639-3963  
    기후환경과 055-392-2604  
    의령군 환경위생과 055-570-2603 의령군(환경위생과) → 전기자동차 구매보조금 집행 관련 업무 : 055-570-2603
    한국환경곤단 통합 콜센터 → 전기자동차 보급사업 관련 민원상담 및 완속충전기 설치관련 상담 : 1661-0970
    무공해차 구매보조금 지원시스템(한국환경공단) → 무공해차 구매보조금 지원시스템 관련 문의 : 032-590-3693
    환경과 055-580-2405  
    환경위생과 055-530-7484  
    환경과 055-670-5873 055-670-5874,055-670-5872
    환경물관리단 055-860-3255 경남 남해군 환경물관리단 055-860-3255
    건설교통과 055-880-2398  
    환경위생과 055-970-7101  
    환경위생과 055-960-6111  
    환경과 055-940-3496  
    환경위생과 055-930-3342  
    미래전략국 저탄소정책과 064-710-2616 전기차 민간보급 상담 안내 : 064-710-2616 / 064-710-2614 / 064-710-2612
    통합안내데스크 1661-0970  

     

     

     

    자동차 신규 등록 할 때 필요한 것들

    1. 신규 등록 비용 ● 수입증지 : 2,000 ~ 2,500원 ● 수입인지 : 3,000원 ● 취득세 : 과세표준액의 7%(승용차). 5%(화물차), 4%(영업용 차), 면제(경차) ● 도시철도채권 : 지역, 차종, 배기량에 따라 다름

    1.angelmam.com

     

     

     

    자동차 말소 등록에 필요한 서류

    대상 국내에서 등록한 자도아가 폐차, 수출, 도난 등의 사유가 발생한 경우 차량소유자의 신청에 의해 기존이 등록 효과를 소멸시키는 등록 말소등록기한 말소 등록 사유가 발생한 날로부터 1개

    1.angelmam.com

     

    반응형